안녕하세요, 피코소프트의 디자이너입니다. 최근 들어 AI를 활용해 이미지와 영상을 제작하는 일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원하는 느낌의 이미지를 찾기 어렵거나, 디자인에 딱 맞는 이미지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AI는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되어주고 있습니다.
저희 피코소프트에서도 미드저니 유료 플랜을 도입해 직접 사용해 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디자이너의 시각에서 본 미드저니 사용 후기와 가격 정보를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미드저니 생성형 ai 이미지 디자이너 유료 사용후기
미드저니는 생성 ai 플랫폼으로 텍스트로 원하는 설명하면 그에 맞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방식으로 여타 플랫폼과 같은 방식과 동일합니다.
현재는 5초 정도의 짧은 영상까지 생성이 가능하도록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많은 플랫폼 중 현시점에서 퀄리티가 높은 ai 이미지 제너레이터입니다.
다양한 카테고리가 존재하지만 특히 실사체 쪽의 퀄리티가 괜찮다는 평이 많았습니다.
미드저니 첫 화면에서는 자연스러운 레퍼런스들을 볼 수 있으며 상단에는 생성을 위한 설명란을 작성할 수 있는 검색창 같은 것이 존재합니다.
작성은 글로 직접 작성을 하셔도 좋고 유사한 이미지가 있다면 가져와서 설명을 추가로 붙여 생성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이 설명을 작성한 텍스트는 프롬프트라 하며 현재는 한글보다는 영어로 더 나아가 개발자 용어로 입력을 하면 더욱 원하는 형태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부분을 공부가 좀 필요한데 미드저니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참고 이미지 방식을 구체적으로 나눈 점이 인상적입니다.
미드저니의 입력창 좌측에 아이콘을 누르면 나오는 image prompt와 style reference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01. image prompt (이미지 프롬프트)
원하는 느낌과 모델, 제품, 사물, 동작, 모양 등 참고할 수 있는 이미지를 활용하여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기존 모델 사진에 콜라병을 들고 있도록 변경하거나 기존 모델의 배경을 바꿔달라 하는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원하는 형태의 느낌을 가져온다고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02. style reference (스타일 레퍼런스)
위는 형태나 동작을 가져왔다면 스타일 레퍼런스는 재질, 광원, 화풍, 표현 등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3D 고양이 캐릭터를 동일한 3D 효과의 강아지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 등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재질, 표현 방식을 가져온다고 생각하시면 좋겠네요.
마지막 Omni-reference는 위 두 가지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느낌입니다.
생성한 이미지는 미드저니 자체에서 creation actions 기능으로 결과물을 보완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더욱 편리하였습니다.
미드저니 가격 유료플랜
미드저니 가격은 월과 연 단위로 구독이 가능합니다. 연 단위로 구독한다면 20% 할인 적용됩니다.
Basic Plan | 월 10달러 / 연 8달러 200분 빠른 제작 |
Standard Plan | 월 30달러 / 연 24달러 15시간 빠른 제작 소진 시 느린 속도 모드 |
Pro Plan | 월 60달러 / 연 48달러 30시간 빠른 제작 소진 시 느린 속도 모드 작업물 숨김 모드 |
Mega Plan | 월 120달러 / 연 96달러 60시간 빠른 제작 소진 시 느린 속도 모드 작업물 숨김 모드 |
가격의 기준은 빠른 생성 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분당 약 1개의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스탠다드 가격부터는 빠른 생성 시간이 소진 후 릴렉스 모드를 사용하여 느리게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탠다드부터 이미지와 비디오 동시에 3/3개, 프로 12/6개, 메가 12/12개 빠른 작업이 가능합니다.
또 미드저니 프로와 메가는 자신의 이미지를 숨길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느 정도 미드저니의 느낌을 보고 싶다면 베이직으로 하시면 좋고 본격적으로 작업이 필요하신 분은
스탠드다드 플랜 약 4만 원의 가격으로 꾸준히 사용해 보시는 것이 괜찮겠네요.
미드저니 디자이너의 유료 사용후기
미드저니 스탠다드 플랜을 디자이너 입장으로 간략하게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 정도만 부탁드립니다.
프롬프트 작성은 한글로 작성해도 잘 나오지만 될 수 있으면 미드저니는 영어로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잘 나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콩글리시가 많아 올바른 영어 명칭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마스크 팩 관련 이미지가 필요하여 찾아보니 영어권에는 sheet mask 또는 face mask로 사용하고 있어 수정하니 좀 더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