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피코소프트입니다. 클리핑 마스크는 디자이너라면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인 기능입니다.
그래서 어도비의 일러스트레이터, 포토샵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그림 툴에도 존재할 만큼 매우 중요하고 편리한 기능입니다.
또 응용을 통해 특별한 디자인을 할 수 있으니 이번 포스팅으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로 다루지만 이외에도 포토샵 클리핑마스크 및 각종 다양한 툴과 유사하니 그 점을 참고해 주세요.
일러스트레이터 클리핑마스크 사용 방법과 펜 툴로 누끼 따기
01 일러스트레이터 클리핑마스크
클리핑마스크 기능은 한 객체의 형태의 기준으로 다른 객체를 보여주는 형태입니다.
그러니깐 한 객체는 액자가 되는 것이고 다른 객체는 안에 사진이 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 다른 두 객체 준비하기
일러스트레이터에 클리핑마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2개의 객체가 필요합니다.
저는 예시로 파란색 원과 보라색의 별 모양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에 있는 기본 도형이니 쉽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크기와 색상은 반드시 다르게 해주셔야 처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모양이 다른 두 도형을 겹치기
이때 액자가 되는 도형 위로 내용이 되는 도형은 아래로 내려갑니다. 저는 원 위에 별 모양을 두도록 하겠습니다.
알러스트레이터 레이어 올리기와 내리기 단축키
기능 | 단축키 |
레이어 한 층 내리기, 올리기 | Ctrl + [ , Ctrl + ] |
레이어 최상위 층으로 내리기, 올리기 | Ctrl + Shift + [ , Ctrl + Shift + ] |

3. 겹쳐진 두 도형을 선택
드래그를 이용하면 쉽게 두 도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우클릭 클리핑 마스크 선택 (단축키 Ctrl + 7)
두 객체가 선택이 되어야 클리핑 마스크가 가능합니다.
한 객체를 선택하여 클리핑 마스크 버튼(Mask Clipping Mask)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별 도형은 액자가 되었고 내부에 원이 들어갔습니다. 이렇게 보면 단순히 패스파인더의 쉐이프를 사용한 느낌이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클리핑 마스크의 장점은 내부에 들어간 객체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액자로 사용된 객체는 틀은 그대로 유지하여 다시 재활용은 가능하지만 색상을 다시 넣어줘야 합니다.
완료도 된 도형을 더블 클릭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위 인터페이스에서 사각형 원형을 볼 수 있습니다.
좌측 사각 버튼은 액자 부분의 객체, 원형 버튼은 내부로 들어간 별 객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02 펜툴로 누끼 따기

위에서 클리핑 마스크에 대한 기능을 설명드렸습니다.
이것을 활용하여 펜 툴로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 이미지의 누끼를 따보는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누끼로 만들어야 할 이미지를 준비해 주세요.
사람 같은 경우는 머리카락 부분이 어렵기 때문에 포토샵으로 작업해 주시고 저는 귀여운 강아지 사진 준비하였습니다.

펜 툴을 선택 후 작업 팁을 드리면 이미지 위에서도 잘 보이는 선 색상을 변경해 주세요.
또는 이미지의 투명도를 50~70 정도로 조정하셔도 됩니다. 색이 채워지지 않게 면 색상을 없음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이미지는 움직이지 않게 이미지 선택 후 Ctrl + 2 하시면 이미지를 클릭을 할 수 없도록 고정이 됩니다.
이제 펜 툴을 이용하여 귀여운 강아지 귀부터 외곽선을 그려나가겠습니다.
펜 툴은 사용하는 만큼 잘 사용하게 되니 연습을 많이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참고로 포토샵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누끼 작업이 가능합니다.

펜 툴을 이용하여 외곽선을 다 그렸다면 면 색상을 지정하여 채워주세요.
그리고 강아지 이미지와 펜 툴 작업한 객체를 같이 선택하고 클리핑 마스크 기능을 선택하시면 귀여운 강아지 누끼 완성입니다.

이런 형태로 일러스트레이터에서도 이미지 누끼 작업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일러스트레이터를 사용하면서 궁금했던 점 그리고 잘 모르는 부분들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